본문 바로가기

우리는 현재에 집중하고 있는가 - 가장 빨리 부자되는 법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단계를 밟아야 한다. 그 단계들을 밟아 나가며 우리는 문제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그러나 무엇을 배우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경험하는 것이다. 잠재적 문제를 정확히 예측하고 예방할 방법은 존재할 수 없다. 설령 그렇게 할 수 있어도, 직접 경험해 보기 전에 맞닥뜨린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기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노래가 있어서 계속 듣는다고 해보자. 그런데 당신은 지금까지 노래를 듣기만 하고 직접 부르지는 않았다. 그 상황에서 노래를 계속 들었으니 부를 수도 있을 것이라 느끼겠지만 막상 직접 부르는 것은 아주 다르다.

 

일단 필요한 단계를 밟아라. 그럼 당신이 문제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실제로 거의 일어나지 않고, 짐작도 못한 다른 상황들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행동으로 옮기기도 전에 모든 잠재적 문제에 계획을 세우는 것은 당신의 성동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신이 목표에 도달하는 데 더 오래 걸리게 만들 뿐이다. 생각과 계획을 그만 멈추고 행동하라.

 

작가는 지난 몇 년간 수천 명이 온라인 사업을 구축하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도왔다고 한다. 직접 코칭을 하든 온라인에서 대규모 그룹에게 코칭을 했는데 거기에서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앞뒤 가리지 않고 행동하는 사람은 대개 성공했다. 처음부터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려고 지나치게 많이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개 성공하지 못했다. 왜일까? 그들은 완벽하지 않다는 이유로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며, 결국 좌절감을 느끼며 포기했기 때문이다.

 

완벽증은 우리가 일을 제대로 처리하는 것만 너무 신경 쓰고 걱정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이른다.

 

슛 기술을 익히려고 노력하는 아이스하키 선수를 상상해 보자. 이 선수는 해당 분야의 책과 동영상을 모두 섭렵하고, 지역 하키 동호회에 가입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진전이 있으려면 하키용 퍽을 날려 봐야 한다. 그가 슛을 하면 퍽이 1,001번쯤은 잘못 나갈 수 있지만, 지금 이 순간 유일한 진짜 문제는 한 번도 슛을 시도해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가 슛을 시도하면 자연스럽게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그때 문제를 해결하면서 배울 기회를 얻을 것이다. 그 후 또 문제가 발생하면 그 문제들 역시 해결하면 된다. 생기지도 않은 문제에 온 신경을 기울이면 우리는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심지어 목표를 아예 단념하게 될 수도 있다.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고려하느라 생각만 하고 시작조차 해 보지 않은 경험이 몇 번이나 있는가?

 

힘 빠지는 생각은 하지 마라.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에 집중하라. 시간과 에너지, 정신적 여유를 더 많이 갖고 실제 발생한 상황과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상황을 구분 짓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교육은 거의 안 받았지만 슛을 2천 번 날려 본 선수가 10년을 교육받고도 한 번도 빙판 위에 서 보지 않은 선수보다 더 뛰어난 실력을 드러내는 이유다. 심지어 슛을 2천 번 시도한 선수는 자신이 언제 훈련이 필요하고, 어떤 훈련이 필요한지도 정확히 안다.

 

 

행동은 거의 항상 실수를 낳는다. 그러나 행동하지 않으면 절대 성공할 수 없다. 실수하지 않고 성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책에서 우리 머릿속에 주입하려는 가장 큰 교훈은 더 빨리 실수할수록 더 빨리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험해 보지 않은 분야의 사업을 처음 시작하면, 그야말로 모든 것이 엉망진창인 시기가 찾아온다. 모든 일이 꼬이고, 우리는 속을 까맣게 태우는 끔찍한 실수들을 많이 할 것이다. 그런 실수들 때문에 우리는 쓰러질 수도, 자신이 바보처럼 느껴질 수도, 하던 일을 멈추게 될 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생각들에 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우리가 할 일은 아주 많이 행동하고 실수해서, 거기에서 배우고 가능한 빨리 문제를 극복하고 헤쳐 나가는 것이다.

 

행동을 가로막는 문제들을 떠올릴 때마다 스스로 질문을 던져라.

 

* 내가 목표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내가 어떤 목표도 달성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 죽을 때 이 모든 일을 후회하면 어떻게 될까?

 

나중에 인생을 되돌아보며 중요한 일들을 하지 않아 후회하는 것이 일어나지도 않은 문제들에 대한 걱정보다 두렵다.

 

사람들은 모두 각기 다른 목표를 갖고 있다. 우리가 할 일은 궁극적 목표를 찾고, 그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 스스로를 용서할 수 있는지 자신에게 묻는 것이다. 더 중요한 점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고통의 포인트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패의 두렴움을 이겨 낼 유일한 방법은 성공하지 못하는 것을 더 크게 두려워하는 것이다. 그야말로 못살겠다는 무엇인가가 있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기가 아주 어려울 것이다. 고통 목록을 작성한 후에는 자주 들여다보며 자신의 목표를 가능한 많이 되뇌어라. 스스로 편안해지는 것을 경계하지 않으면, 결국 너무 편안한 상태에 빠져 절대 헤어날 수 없을 것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인생을 통제할 수 있고 뭐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믿는다. 또 현재의 문제에만 집중한다. 현재의 문제만이 실제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 성공한 사람들은 인생을 아직 굳지 않은 점토 덩어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미래를 내다보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그 점토를 빚는 것이라고 믿는다.